대외활동/42서울

[42서울] Netpractice LEVEL 8 문제 풀이

커피와 개발자 2024. 11. 11. 20:22
728x90
반응형

서론

인터넷 통신을 위한 서브넷팅, 라우팅 테이블 설정, ip 주소 설정 등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과제이다. 이 포스팅에서는 예시로 하나의 문제에 대한 해설을 적어보았다.

 

  1. 한 라우터의 다른 경로는 다른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해야 한다.
  2. 한 경로의 네트워크 주소는 모두 동일하며, 호스트 주소는 모두 달라야 한다.

이 두 가지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을 토대로 주어진 문제의 빈칸을 해결하면 된다.

 

서브넷 참고자료

2023.12.05 - [전공/네트워크] - [네트워크] #17 IP (개념, Datagram 형식, IPv4, IPv6, 주소 접근, NAT)

 

[네트워크] #17 IP (개념, Datagram 형식, IPv4, IPv6, 주소 접근, NAT)

목차IP(Internet Protocol)Datatgram formatFragmentationIPv4 addressing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IPv6 1. IP (Internet Protocol)2. Datagram format3. Fragmentation네트워크 링크에 MTU(max.transfer size)가 존재하나의 데이터그램이 여

campus-coder.tistory.com

 

 

 

풀이

LEVEL8

 

알 수 있는 정보들

  1. internet I의 라우팅 테이블을 통해 
    - 주어진 서브넷의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136.114.157.0/26, 즉, 136.114.157.0 ~ 136.114.157.64
    - I의 라우팅 테이블이 연결되는 라우터의 인터페이스 ip는 R1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63.38.250.12
  2. host D1, router R2 연결
    - D1의 mask를 통해 R23의 mask는 255.255.255.240, 즉, /28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 router R2의 라우팅 테이블
    - interface R13의 ip는 136.114.157.62 임을 알 수 있다.

 

이 정보들을 토대로 빈칸을 채우고 나머지 빈칸을 채우면 된다.

 

 

  1. router R1, R2 연결
    1. R2의 라우팅 테이블에 따라 R13의 ip 주소는 136.114.157.62이므로 R21에는 가장 작은 서브넷 범위인 136.114.157.60/30 (136.114.157.60~136.114.157.63)을 지정하고 IP 주소를 나머지인 136.114.157.61로 설정해 주었다.
  2. router R1 라우팅 테이블
    1. 인터넷으로 가는 라우팅 규칙이 존재하니 그림에서 나머지 라우터 R2로 가는 규칙을 추가하면 된다.
    2. R2 내부에서 사용할 범위인 136.114.157.0/27을 지정해 주었다.
  3. router R2, host D 연결
    1. 사용되지 않은 ip 주소 136.114.157.1, 136.114.157.2를 각각 할당해 주었다.
    2. 서브넷의 양끝 ip 주소 136.114.157.0과 136.114.157.15는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되기에 남겨두어야 한다.
    3. host D의 라우팅 테이블에는 인터넷(default = 0.0.0.0/0)으로 가기 위한 first hop router의 ip 주소를 지정했다.
  4. router R2, host C 연결
    1. 앞선 연결에서 xxx.0 ~ xxx.15, xxx.60 ~ xxx.64의 ip 공간을 사용했으니 나머지 136.114.157.16 ~ 136.114.157.59를 사용할 수 있다.
    2. 서브넷 중 가장 작은 범위인 /30(주소 공간 4, 특수 목적 공간 제외하면 2)을 지정하고 각각 136.114.157.17,  136.114.157.18을 지정해 주었다.
    3. host C의 라우팅 테이블에는 인터넷으로 가기 위한 first hop router의 ip 주소를 지정했다.
728x90
반응형